Yangjae-dong Pocket Park
Location 서울시 관내 10개구    
Site Area 5,055㎡ (10개소)    
Client 서울특별시    
       
 
Park

 
 
 

서울시는“환경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도심 속에 존재하는 소규모 자투리땅을 공원화를 목표로 현상 공모하여 관내 10개구 1개소씩 시범사업을 하였다. 서울과 같이 과밀한 대도시에서 공원용지를 새로이 확보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현행 도시공원 법에서 규정하는 도시공원 중 최소 규모인 어린이공원을 1500M2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현대도시에서 공원의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규모보다 위치가 더욱 중요하게 평가되는 추세이다. 이제까지는 경제 우선원칙에 떠밀려 도시 곳곳에 산재한 소규모 공지가 건물 신축부지로, 주차장으로 또는 다른 경제적 이용에 급급해 온 것이 현실이다. 마을마당이 도시지역에 존재하는 소규모 자투리땅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모델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직장과 집에서 멀리 떨어진 넓은 공원보다 가까운 곳에 작지만 아름다운 공간이 있다면 전 시간대에 전 연령층이 고밀도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자투리 공간을 개발하여 점적인 오픈스페이스가 곳곳에 산재하게 된다면 서울시의 녹지체계를 형성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조끼 주머니(vest pocket)가 의미하는 바와 같이 작지만 요긴하고 편리함을 상징하는 도시소공원은 1960년대 뉴욕(New York)을 중심으로 시도 되었다. 그 효시는 팔에이 파크(Paley Park)로 뉴욕 시 공원연맹(Park Association of New York City)이 주축이 되어 조성한 이 공원은 약 200㎡의 부지에 벽천, 간이매점, 17주의 녹음수를 식재하였고 이동식 의자와 테이블을 배치하였다. 인접한 오피스 빌딩의 근무자, 보행자들이 고밀도로 이용하는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었다. 4년 후 조성된 그린에이커 파크는 매력적인 수공간, 조각, 릴리프, 퍼고라와 녹음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간에는 조명으로 매력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러한 뉴욕의 소공원은 미국의 여타 도시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소공원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1990년 총체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부를 신설하여 생활문화의 보급과 향상, 고급문화로 편중된 문화적 편재 현상의 극복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와 문화부는 달동네라 불리는 저소득 고밀주거 지역에 문화 및 복지의 공유를 위한 장소로 쌈지마당을 조성하였다. Vest pocket park의 순수한 한국적 표현인 쌈지공원은 도시 내 자투리 공지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본 사업과 유사한 출발을 보이나, 저소득층 도시 빈민을 대상으로 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쌈지마당은 3개소가 조성되어 한국적 도시 소공원의 시범적 모델을 제시하였으나, 사업대상지 선정과 이용 대상이 제한적이었으며 사업 추진이 지속적이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전통적으로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이웃과 함께 일하고 즐기는 미풍양속이 이어져왔다.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며 이러한 공동체 의식이 사라지고 있다. 잃어버린 '동네 공동체 의식', '이웃과의 대화', '모임의 장소', '자연과의 친화', '여유 있고 개방된 공간', '함께 가꾸는 곳' 등이 마을마당에 담겨야 할 의미로 보았다. 마을단위의 작은 공유공지에 주민들이 '함께 가꾸고 즐기며, 꽃과 녹음이 어우러진 우리 마을 공동의 정원'이라는 기능과 설계방향을 설정하였다.

Our company’s plan was chosen in the competition held by the city of Seoul for selecting one pilot project for each of ten counties in Seoul to create pocket parks throughout the city using small left over spaces. It is quite difficult to secure land site for building parks in an overcrowded city like Seoul. According to the urban park law, the size for children’s park, which is the smallest in scale for an urban park, is to me above 1500 square meters. However, in actuality, the location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size. Until now, small empty land has been used as a site for new structures, parking lots or other economical purposes. Hopefully, this will change, and pocket parks can become a model of effective use of small left over land. If there is a small but beautiful park close by, many people of all ages will visit it throughout the day rather than going to a large park far away from home and work. Also, when such small parks are opened throughout the city, it will greatly contribute in creating green network of Seoul.

Urban pocket parks that are small but useful and convenient like vest pockets were first initiated
in New York in 1960. The first is Paley Park by the Park Association of New York City. It is built on 200 square meter site and has a wall fountain, snack booth and 17 shade trees as well as moveable chairs and tables. The park, where many people who work in nearby office buildings and pedestrians enjoy visiting, is assessed as a successful case. Green Acre Park, which was created four years later, is composed of attractive water space, sculpture and shade trees, and the lighting creates a beautiful ambiance at night. Pocket parks of New York influenced other cities of the U.S as well as around the world. In 1990,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Ministry of Cultu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in a joint effort with Seoul City, built policies to create and enhance everyday culture and overcome cultural gap. As a part of such effort they created “Ssamji Yard” as a place for culture and welfare in low-income, high density areas called as “moon towns.” “Ssamji Yard” is a Korean name that means vest pocket park, and is similar to our project in that both share the concept of utilizing left over urban land, but they are different as Ssamji Yard is for low income class. Also, three Ssamji Yards were created and were suggested as exemplary models for Koreanized urban pocket park, but the project did not continue as there were limitations in selecting sites and identifying prospective visitors.

In Korea, a traditionally agricultural society, social morals and customs of working and enjoying with neighbors continued, but as it experience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such sense of community disappeared. ”Sense of town community,”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place of meeting,” ”closer to nature,” ”peace of mind,” ”open space” and ”place to decorate together” are some of meanings that pocket parks have to hold. The design direction was to create a small space where residents can maintain and enjoy as a community garden filled with flowers and trees.

   
 
SYNWHA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aental Design Land Planning
   
News
   
                                              Projects
 
Synwha